[팍스넷뉴스 류세나 기자] ㈜LG가 LG화학, LG유플러스, LG전자 등 주력 계열사의 실적 신기록 달성 힘입어 올 3분기 호실적을 기록했다. 그 덕에 ㈜LG의 지분법 이익도 전년대비 171% 확대된 6157억원으로 집계됐다.
㈜LG는 9일 장마감후 공시를 통해 연결기준 전년대비 116% 확대된 7671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액과 순이익은 각각 17%, 124% 증가한 1조9561억원, 7617억원으로 집계됐다.
LG그룹 지주사인 ㈜LG는 LG화학, LG전자, LG유플러스, LG생활건강 등 14개 연결 자회사를 거느리고 있다. 이들 자회사로부터 거둬 들이는 배당 및 상표권 수익, 임대수익 등이 ㈜LG의 주요 수입원이다.


이러한 성과는 LG화학을 필두로 LG유플러스 등 그룹 간판 계열사들의 성과에 기인한다. 특히 LG화학은 석유제품의 수요 회복과 코로나19로 인한 펜트업(억눌린) 수요 증가로 분기 최대 매출(7조5073억원)과 영업이익(9021억원)을 경신했다. 이는 전년대비 각각 8.8%, 159% 늘어난 수치다. 이 가운데 분사를 앞두고 있는 전지부문이 2분기 흑자로 돌아선 데 이어 3분기 역대 최대인 1688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것도 눈에 띈다.
LG유플러스의 성장도 눈에 띈다. 모바일과 스마트홈 등 유무선사업의 고른 성장과 효율적인 비용집행으로 영업이익이 전년대비 61% 증가한 2512억원을 달성했다. 이는 2010년 LG텔레콤과 LG데이콤, LG파워콤을 통합한 이후 가장 높은 분기 영업이익이다.
LG전자도 선방했다. 올 3분기 9590억원의 영업이익과 16조9196억원의 매출을 내며 3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썼다. 코로나19에 따른 펜트업(억눌린) 수요 확대와 집콕 수요증가로 TV 및 생활가전 판매량이 늘면서 실적 향상을 견인했다. 특히 LG전자는 생활가전(H&A) 부문에서만 올 9월까지 누적 영업이익 2조원을 돌파한 상태다.
LG디스플레이의 흑자전환도 눈에 띈다. LG디스플레이는 올 3분기 1644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7개월 만에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연결 자회사 가운데 영업적자를 기록한 법인은 LG경영개발원(-25억원)과 지투알(-7억원) 두 곳으로 확인된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팍스넷뉴스 무단전재 배포금지
- ㄴ 시스템통합 빅3, 디지털전환 대응 '박차' 2021.01.12
- ㄴ LG家, '지수INC' 지분 전량 매각키로 2021.01.08
- ㄴ "LG팬덤 만들자" 구광모 기치 발 맞추는 LG전자 2021.01.07
- ㄴ LG-SK, 美 특허심판 결과 해석 놓고 '공방' 2021.01.15
- ㄴ LG화학, JP모건서 통풍치료제 등 신약 성과 발표 2021.01.13
- ㄴ LG화학, 870억원 규모 소아마비백신 공급 2021.01.07
- ㄴ 2G 종료 LG유플러스, 상각비 소폭 감소 2021.01.19
- ㄴ LG유플러스, 6월 2G 서비스 종료 2021.01.15
- ㄴ 통신 3사, 5G 콘텐츠·자율주행 기술 '주목' 2021.01.12
- ㄴ LG폰 사라진다?···권봉석 "모든 가능성 열어둬" 2021.01.20
- ㄴ 삼성·LG, 전열 가다듬는 전장사업 2021.01.14
- ㄴ LG전자, 미래기술의 완성은 '초협력' 2021.01.13
LG화학, 배터리 사업 물적분할 '통과'
주주 63.7% 찬성…오는 12월 'LG에너지솔루션' 공식 출범
LG유플러스, 3Q 유·무선 사업 '쌍끌이'
하반기, B2C 사업 확장 기조 지속..."연 5% 실적 성장률 달성 할 것"
LG전자, 3Q 영업익 9590억…분기 최대
생활가전, 올해 누적 영업익 '2조원' 돌파...코로나19 보복소비 수혜 '톡톡'
LG, '상사·판토스·하우시스' 분리한다
LG생건, 호실적 속 승진규모 반토막
'황현식'호 LG유플러스 출범...구심 통할까?
핵심 영역에 '모바일 영업通' 배치...통신 중심 B2C 강화 전략
'집콕·펜트업 효과' ㈜LG, 지분법이익 1년새 182% ↑
3Q 평가이익 1조4091억…전자·화학 쌍끌이 실적 개선 덕에 '好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