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팍스넷뉴스 김가영 기자] 정부가 오는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자산 거래 소득에 대한 과세를 2022년으로 유예했다. 가상자산으로 번 소득이 연 250만원을 초과하면 세금을 매긴다.
1일 국회와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는 전날 전체회의를 열어 소득세법, 개별소비세법 등 세법개정안을 의결했다. 이날 처리된 세법개정안은 2022년 1월부터 가상화폐 등 가상자산을 '기타소득'으로 분류해 과세하는 내용이다. 이들 개정안은 법제사법위원회를 거쳐 본회의에서 의결되면 확정된다. 현행 세법상 '기타소득'에는 영업권 등 자산 및 권리를 양도 대여해 받은 소득, 복권 수익, 강연료, 공익법인 상금, 골동품 양도 소득 등이 해당된다.
가상자산 과세안은 2021년 10월부터 적용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과세 인프라 준비기간을 고려해 3개월 늦춰졌다. 내국인은 250만원 기본공제를 적용한 소득에 대해 20% 세율로 분리과세가 적용된다. 외국인은 양도가액의 10% 또는 양도차익의 20% 중에서 낮은 금액을 거래소 등을 통해 원천징수한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팍스넷뉴스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석우 두나무 대표 "규제·진흥 같이 있어야"
"업권법 필요, 디파이는 실물자산에 대한 두려움 없애"
"빗썸 803억원 과세, 법적 근거 없어"
박형수 의원 "국세청 질의에 기재부가 회신 피하는 사이 과세처분"
가상자산 과세, 협회 "2023년 이후 유예" 주장
빗썸, 가상자산 자동신고납세 시스템 구축한다
가상자산 과세, 업계 "인프라 파악못한 부실 방안"
개인정보 수집, 구체적인 취득가액 산정 기준 제시 없어
기재부, "내년부터 가상자산에 세금 부과"
7월 발표 소득세법 개정안에 관령내용 포함...통과시 내년 시행
비트코인 신고점 달성...2만달러
가상자산업계 "과세 유예 환영하지만 여전히 촉박"
블록체인협회, 특정금융정보법 시행 고려시 인프라 준비 기간 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