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팍스넷뉴스 김새미 기자] 한미사이언스는 바이오앱과 공동연구 중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의 전자현미경 바이러스유사입자(VLP, 사진)를 공개했다고 23일 밝혔다.
VLP는 나노미터 크기의 작은 입자로 바이러스와 유사한 형상을 가진 게 특성이다. 체내에 투입하면 바이러스처럼 항체 생성을 유도하지만 바이러스 유전자가 없기 때문에 감염성은 없다.
한미사이언스는 바이오앱과 코로나19 백신 임상·개발과 대량 생산을 위한 '광속 사업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앞서 한미사이언스는 지난 6월 바이오앱과 그린백신 개발·사업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최근에는 바이오앱에 대한 전략적 지분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양사가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은 바이오앱과 공동연구를 통해 mRNA 기술 기반의 단백질 발현물질에 식물바이러스 나노 테크놀로지를 접목한 신약이다. 식물을 통한 단백질 재조합(Protein Recombinant) 기술을 활용해 개발하고 있다.
양사는 동물모델 실험을 통해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이 완치 환자보다 높은 중화항체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현재 독성실험 등 백신 허가를 위한 전임상 단계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영국형 변종 바이러스 물질도 후보물질로 코로나19 그린백신 실증사업을 신청했다.
양사는 내년 안에 가장 안전한 코로나19 그린백신 임상 착수를 목표로 그린백신 생산에 필요한 공정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한미 바이오플랜트는 그린백신 정제 기술을 자체 기술력으로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긴급 생산에 대비해 소규모 생산과 실증산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생산시설을 설계하고 있다.
한미사이언스 관계자는 "한미 바이오플랜트 실증 결과에 따라 신속하게 생산규모를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팍스넷뉴스 무단전재 배포금지
- ㄴ 한미약품 오너가, 5000억 상속세 해법은 2021.03.05
- ㄴ 송영숙 회장, 한미사이언스 최대주주 등극 의미는? 2021.03.04
- ㄴ 한미약품, 신약 2개 허가·백신 CMO '반등 열쇠' 2021.02.09
한미사이언스, 신임 대표에 송영숙 회장 선임
임종윤 대표와 공동 대표 체제 구축...임주현 한미약품 부사장도 등기이사 선임
한미사이언스, 송영숙·임주현 신규 이사선임
한미사이언스 '키맨'으로 떠오른 신동국 회장
故임성기 회장과 인연으로 한미약품 그룹 투자…2대 주주 지위 유지
한미약품그룹, '오너 2세+전문경영인 체제'로
임주현·임종훈 남매 사장 선임…우종수·권세창 투톱 체제도 유지
한미약품, 새 회장에 '미망인' 송영숙 고문
신테카, 한미와 코로나 치료제 개발하는 이유
흡입형 치료제 장치장벽 '디바이스' 개발경험 높게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