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팍스넷뉴스 윤아름 기자] 질병관리청이 '코로나19 백신 유통관리체계 구축‧운영 사업' 수행기관으로 SK바이오사이언스를 선정했다고 22일 밝혔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아스트라제네카 생산 및 유통과 더불어 내달 초부터 순차적으로 국내에 들어올 화이자, 얀센, 코백스 퍼실리티(백신 공동구매 및 배분을 위한 국제 프로젝트) 백신 등의 유통을 담당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백신별로 맞춤형 콜드체인 관리체계를 구축해 백신 운송 중 실시간으로 온도 유지 여부, 배송 경로 등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운영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엠투클라우드가 협력업체로 참여해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통합관제센터를 구축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또 백신 공급 시기의 불확실성과 백신 공급량의 유동성 등에 대비해 국내 물류업체와 협력체계를 갖추고 냉동‧냉장 물류 센터를 운영한다. 협력 업체로는 지트리비앤티, 동원아이팜이 선정됐다. 동원아이팜의 경우 –75℃ 백신 보관을 위한 초저온 물류창고를 확보하고, 물류센터 구축을 담당한다.
질병청은 초저온 보관이 필요한 화이자 백신을 위해 '초저온 냉동고' 설치도 준비 중이다. 질병청은 각 지방자치단체가 대한과학, 일신바이오베이스, 써모피셔사이언티픽 등 업체 3곳을 통해 냉동고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국가보조금을 지원한다.
정부는 현재 모더나 2000만명분, 아스트라제네카 1000만명분, 화이자 1000만명분, 얀센 600만명분 계약을 체결했다.
정은경 질병청장은 "백신의 철저한 유통관리체계 구축은 안전한 접종을 위한 가장 중요한 핵심 업무"라며 "접종 시행 전까지 세심하고 차질 없이 준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팍스넷뉴스 무단전재 배포금지
- ㄴ SK바이오사이언스 IPO 흥행? 수급 여건 '긍정적' 2021.02.26
- ㄴ 정체성 바꾼 SK바이오사이언스, 거품 논란 해소? 2021.02.18
- ㄴ 엔데믹, 국산 백신을 기다리는 이유 2021.02.17
SK바이오사이언스, GSK 백신 5종 공동판매 계약
식약처, 아스트라 '코로나19 백신' 심사 착수
안전성·효과성 철저히 검증…국가출하승인도 20일 내 완료 예정
SK바이오사이언스·SKIET, IPO 순서는?
공모주 흥행위해 시기 분산 가능…자금조달 시급성도 달라
IPO 앞둔 SK바이오사이언스, '백신 접종' 시너지 효과
CMO 계약 아스트라제네카, 영국·인도 접종 임박…'상온 유통' 차별화
코로나19 백신 접종, 2월부터 시행
정부, 9월까지 전국민 대상 1차 접종 실시…11월까지 집단면역 형성 추진
지트리비앤티 "M&A 차질 없다"
'한 달 연기'에 안구건조증 임상 실패설 불거져…베이사이드PE도 "인수 이상 무"
'노바백스도 장착' SK바이오사이언스 더 커진다
2월 증권신고서 제출 IPO 추진...기업가치 4조원 이상 예상
화이자 코로나19 백신 특례수입 승인
식약처-질병청 합동 전문가 자문회의 통해 검토…"2월 중순부터"
SK바이오-GSK, 코로나19 백신 개발 '맞손'
SK 백신 'GBP510'+GSK 면역증강제 'AS03' 병용임상 시작
'대어급' SK바이오사이언스, 증권신고서 제출
SK바이오사이언스 IPO, '빅3' 해외 모객 역량 시험대
해외證 참여없는 '첫' 조단위 공모…국내 증권사 현지화 성과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