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팍스넷뉴스 유범종 기자] 현대중공업그룹이 그룹 역량을 집결한 수소사업 비전을 제시하고 친환경 선도기업으로의 변신을 선언했다.
현대중공업그룹은 25일 온라인 기업설명회를 열고 그룹의 미래성장동력 가운데 하나인 '수소 드림(Dream) 2030 로드맵'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의 핵심은 2030년까지 육상과 해상을 통해 수소 생산부터 운송, 저장, 활용에 이르는 '수소 밸류 체인(Value Chain)' 구축이다.
현대중공업그룹은 이를 달성하기 위해 그룹내 각 계열사의 인프라와 기술경쟁력을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특히 조선부문 중간 지주회사인 한국조선해양은 그룹의 수소 운송과 생산, 공급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맡았다.
한국조선해양은 세계 최고 수준의 조선·해양 플랜트 기술력을 토대로 해상 플랜트 발전과 수전해(水电解) 기술을 활용한 그린수소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안정적인 수소 공급을 위한 수소운반선과 수소 연료전지와 연료공급시스템 기술을 적용한 수소 연료전지 추진선 개발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수소 연료전지 추진선은 청정연료인 수소를 추진 동력으로 사용하는 선박이다. 기존 내연기관보다 에너지 효율을 40% 이상 높일 수 있고 황산화물이나 질소산화물 등 대기오염물질도 전혀 배출하지 않아 대표적인 미래 친환경 선박으로 손꼽힌다.

현대오일뱅크는 블루수소 생산에 본격 돌입한다. 현대오일뱅크는 생산된 블루수소를 탈황설비에 활용하거나 차량과 발전용 연료로 판매할 계획이다. 현대오일뱅크는 이를 위해 오는 2030년까지 전국에 180여개의 수소 충전소를 구축한다는 목표다.
그룹내 또 다른 계열사인 현대일렉트릭과 현대건설기계도 수소 연료전지를 활용한 발전사업과 건설기계 장비사업을 적극 추진한다. 현대일렉트릭은 친환경·무소음 수소 연료전지 발전설비 구축을, 현대건설기계는 수소 기반의 중대형 건설장비 개발에 각각 나설 계획이다.
현대중공업그룹 한 관계자는 "친환경 선박과 그린에너지라는 두 축을 바탕으로 그룹의 신성장사업들이 가속화될 것"이라며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수소사업에 그룹이 가진 기술력과 인프라를 집중할 것이다"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팍스넷뉴스 무단전재 배포금지
- ㄴ 현대그린푸드, '방계 우산' 접힐라 전전긍긍 2021.04.08
- ㄴ 현대重-KIC, 1조 M&A 투자 '맞손' 2021.03.24
- ㄴ 한투, 대기업 IPO 주관 경쟁 '완승' 눈길 2021.03.10
- ㄴ 현대重, 국내·외 대표 주관사 '3곳' 선정 이유는? 2021.03.08
- ㄴ 현대重그룹, 사우디 아람코와 '수소프로젝트' 가동 2021.03.03
- ㄴ 현대중공업, IPO 대표 주관 '한투·미래대우·CS' 2021.03.02
- ㄴ 현대重지주, 정유부문 '직격탄'에 실적 흔들 2021.02.04
- ㄴ '내실다지기' 현대重그룹, 현 경영진 전부 유임 2020.11.19
- ㄴ 현대일렉트릭, 미매각 우려에 대규모 인수단 구성 2020.07.10
- ㄴ 현대건설기계, 중국向 건설장비 2200대 수주 '잭팟' 2021.03.29
- ㄴ 현대重그룹, 두산인프라 품에 안았다 2021.02.05
- ㄴ 현대重지주, 정유부문 '직격탄'에 실적 흔들 2021.02.04
권오갑 현대중공업그룹 회장 "위기 넘어 미래 준비"
대우조선해양·두산인프라코어 인수 마무리하는 중요한 한 해
韓 조선 3사, 어려워도 R&D투자 늘렸다
1분기 연구개발비 전년동기比 143억 확대…스마트선박 주도권 경쟁 치열
도전 직면한 조선업계, '미래선박' 경쟁 치열
현대重-KIC, 1조 M&A 투자 '맞손'
팽창하는 해상풍력 시장…초대형 터빈 국산화 눈앞
대한그린파워, 글로벌업체와 파트너십 전망…JV 설립·기술이전 '가능성'
현대重그룹, 사우디 아람코와 '수소프로젝트' 가동
충격 버틴 정유사, 신사업 발굴 '안간힘'
현대重, 조선·건설기계 시장 장악 '초읽기'
대형 인수합병 두 건 동시 추진…독보적 점유율 가져가나
현대모비스·현대차·현대건설기계, '수소지게차' 개발
공동개발 7개월 만의 성과…현대차그룹 수소연료전지시스템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