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지주 효자 바뀌나
계열 증권사, 1년 새 위상 '뚝'
②투자심리 악화로 실적 악화
이 기사는 2022년 11월 28일 11시 29분 유료콘텐츠서비스 딜사이트 플러스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금융지주내 은행의 존재감은 여전히 절대적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유동성 확대에 따른 주식시장으로의 머니무브가 증권 계열사의 약진으로 이어졌지만, 올해는 금리인상 기조에 증권사들이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 은행은 금리인상 효과로 역대급 이자이익을 거뒀다. 그러나 최근 금융당국의 은행채 발행 자제, 예금 금리 인상 자제 요구에 진퇴양난의 상황에 빠졌다. 이에 따라 팍스넷뉴스는 4대 금융지주 계열사들의 지주 이익 기여도를 점검, 전망해본다.


[딜사이트 이성희 기자] 금융지주 계열 증권사들이 올해 실적 부진으로 그룹 내 위상이 급전직하 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유동성을 바탕으로 어닝 서프라이즈를 지속했지만 올해 금리인상 기조에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위축된 것이 증권사 실적 악화의 주 요인으로 꼽힌다. 여기에 레고랜드 사태로 촉발된 채권시장 자금 경색이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를 앞세워 실적 다각화에 나섰던 증권사에 이중고로 작용하고 있다.


2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금융지주 계열 증권사인 KB증권과 신한투자증권, 하나증권 등 3곳의 3분기 누적 순이익은 1조160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조3207억원)보다 12.1%(1603억원) 감소했다.


브로커리지 이익 감소가 증권사 실적 부진의 직접적인 원인이 됐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금리인하 및 대규모 유동성 공급으로 주식시장 투자가 급증, 브로커리지 이익 증가가 증권사 어닝 서프라이즈를 견인했다. 하지만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자 각국 중앙은행들은 물가 안정을 위해 금리인상에 나서면서 위험자산 투자 심리가 크게 위축됐다. 


여기에 레고랜드 사태로 촉발된 증권사 부동산 PF 대출의 신용 리스크는 증권사 실적을 더욱 암울하게 만들었다. 지난해까지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며 실적 잔치를 벌였던 것이 무색한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여의도 증권가

이에 금융지주 내 증권사의 이익 기여도가 확 쪼그라들었다. 3개 지주 계열 증권사의 순이익은 지난해 3분기 누적 1조3207억원에서 올해 1조1604억원으로 12.1%(1603억원) 감소했다. 지주 순이익 비중도 13.2%에서 10.4%로 2.8%포인트(p) 떨어졌다.


KB증권의 KB금융 순이익 비중은 7.6%로 지난해 10.3%에서 6.8%p 하락했고, 하나증권 역시 15.3%에서 10.0%로 5.3%p 떨어졌다. 신한투자증권은 사옥 매각 이익이 반영되며 순이익이 55.2% 증가, 순이익 비중도 10.3%에서 13.2%로 늘었다. 다만 영업이익은 5397억원에서 2684억원으로 50% 이상 줄어, 사옥 매각 이익이 없었다면 순이익 비중도 축소됐을 것으로 보인다.


높은 은행 의존도에 비은행 부문 강화가 오랜 숙제였던 금융지주로서는 지난 2년간 약진했던 증권 계열사들의 부진이 아쉬운 상황이다.


문제는 증권업황 불확실성이 여전하다는 점이다. 레고랜드 사태로 증권사들의 주 수입원 중 하나였던 부동산PF가 악화됐고, 증권사들도 불확실한 시장 환경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수익성 확보에 팔을 걷어 붙인 상황이다. 


강승건 KB증권 연구원은 "유동성 리스크 안정화 여부, 금융투자소득세 유예 여부, 보유 비시장성 자산의 재평가 손상 여부, 보유 부동산 PF 대출의 신용 리스크 발생 여부 등 다양한 불확실성에 노출돼있다"고 진단했다.


증권사 수익은 한동안 개선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기준금리 인상과 그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가 커서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박사는 "고금리가 장기간 이어지고 채권 시장이 어려운 데다, 주가지수도 상승 여력이 제한될 것으로 보인다"며 "저조한 브로커리지 수익은 물론, 채권 평가 손실 우려가 높고 경기침체에 따른 IB 수요도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관련종목
관련기사
금융지주 효자 바뀌나 2건의 기사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