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뱅크 대주주단, 유상증자 참여 '불투명'
자본 확충해도 실적 개선 확실치 않다는 판단···케뱅 "주주들, 자본 확충 의지 확고" 반박
이 기사는 2020년 04월 22일 09시 57분 유료콘텐츠서비스 딜사이트 플러스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딜사이트 양도웅 기자] KT를 제외한 케이뱅크 대주주들이 케이뱅크가 현재 추진하고 있는 6000억원 규모 유상증자 참여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자금 지원을 해주더라도 케이뱅크가 실적 확대에 성공할 것이란 확신이 없다는 이유에서다. 케이뱅크가 최근 진행한 유상증자의 납입률도 67%에 불과했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5949억1342만5000원 규모의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진행하고 있다. 보통주와 향후 보통주로 전환 가능한 무의결권전환주를 각각 7780만1119주, 2321만6196주를 신주로 발행한다. 납입일은 6월18일이다. 


일단 지난 17일 KT로부터 지분 10%(무의결권전환주 포함 22.09%)를 취득해 최대주주에 올라선 비씨카드는 이번 유상증자에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약 2624억원 규모의 케이뱅크 보통주 5249만여주를 매입한다는 계획이다. 


KT는 지난해 부당한 공동행위(담합) 혐의로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과징금을 부과받으면서 지분 확대가 불가능해지자 자회사인 비씨카드를 통한 자금 조달 방법을 택했다. 현행 인터넷전문은행법은 최근 5년내 공정거래법을 위반한 업체는 인터넷전문은행의 의결권 있는 지분을 10% 이상 보유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반면, KT를 제외한 우리은행·NH투자증권·한화생명보험·GS리테일 등 다른 대주주들은 선뜻 유상증자 참여 여부를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대주주 중 한 곳의 관계자는 "유상증자에 참여해 케이뱅크에 추가로 자금을 투입하더라도 케이뱅크의 경영 정상화가 이뤄질 것인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해 현재 결론이 안난 상태"라고 밝혔다. 다른 곳의 관계자는 "KT와 달리 우리는 케이뱅크를 자회사 개념으로 책임지고 있지 않다"며 "투자금에 대한 정상적인 회수가 가능한지에 대한 확신이 있어야 (참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케이뱅크는 2017년 같은 해에 출범한 카카오뱅크와 달리 '적자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자본 확충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아 영업의 어려움을 겪어 이같은 차이가 발생했다고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대주주 중 일부는 자본 확충이 이뤄지더라도 케이뱅크가 과연 실적 확대에 성공할 것인가에 대한 의구심을 갖고 있는 셈이다. 


이에 따라 케이뱅크가 이번 유상증자에서 계획한 규모만큼 자금을 조달하기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이미 케이뱅크 미래에 대한 긍정 평가가 우세했던 지난해에도 대주주들의 반응은 호의적이지 못했다. 지난해 5월과 7월 케이뱅크가 진행한 주주배정 유상증자 납입률은 0%, 67%에 불과했다. 2018년 12월 유상증자에서도 실권주가 다량으로 발생했다. 대주주 8곳 중 KT를 제외하고 최근 1년간 케이뱅크 지분을 확대한 곳은 우리은행뿐이다. 


케이뱅크의 한 관계자는 "모든 주주들이 유상증자에 참여할 수 없다는 점을 충분히 고려해 추진하고 있다"면서도 "하지만 주요 주주들이 자본 확충에 대한 의지가 확고하기 때문에 이사회가 대규모 유상증자를 결의한 것"이라고 밝혔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관련종목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