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토목사업, 해수면 상승을 눈여겨보자
상승폭 심화로 침수피해 우려…인프라시설 재배치 고려해야
이 기사는 2022년 04월 07일 08시 46분 유료콘텐츠서비스 딜사이트 플러스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딜사이트 김호연 기자] 국내·외 토목사업은 국내 부동산 시장의 활성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여파로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국내 건설업계의 매출에서 토목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꾸준히 줄어드는 것이 국내 건설사의 위상 저하로 직결되는 듯한 위기감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국내 건설사 중 실질적인 맏형 역할을 자처하고 있는 현대건설의 매출액을 살펴보자. 지난해 전체 매출액 18조3616억원 중 토목사업의 매출액은 2조1041억원으로 11.5%에 머물렀다. 2011년 26.4%에서 꾸준히 낮아져 2020년 13.8%에 이어 더 낮아진 것이다.


반대로 건축·주택사업 매출액은 여전한 증가세다. 2012년 23.5%에서 꾸준히 증가해 2020년 52%, 지난해 56.2%까지 비율이 늘어났다. 국내 사회간접자본(SOC) 등의 개발이 대부분 완료되는 국면에 들어섰고 토목사업 자체의 수익성도 많이 떨어지면서 대부분의 건설사가 주택·건설사업에 집중한 결과다.


하지만 토목사업은 국가의 기간 사업이다. 어린 시절 대규모 토목공사를 수주해 착공하면 교과서에 실릴 만큼 중요하게 다뤄지기도 했다. 해외에서 수준 높은 기술력으로 명성을 떨치던 '그 시절'을 그리워하는 건설사 관계자가 잊을만하면 나타나는 것도 분명한 현실이다.


관련 업계에선 토목사업의 명맥을 이어가기 위해 기존 인프라시설을 유지 및 개보수하는데 초점을 두고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수도와 철도, 지하철, 교량 등 만들어진지 100년이 넘어간 인프라시설이 주변에 상당한 만큼 이들을 다시 들여다보면서 먹거리를 찾는 것이다.


주변을 둘러보는 동시에 앞으로 더 멀리 바라보고 나아가면 좋겠다. 더 큰 먹거리가 국내엔 여전히 존재한다. 인프라시설의 재배치다. 국내도 지구의 기온 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가속화되는 만큼 일부 지역이 가까운 미래에 침수될 가능성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동해와 황해, 동중국해의 지난 2월 해수면은 평년보다  각각 10.3㎝, 14.9㎝, 11.5㎝ 상승했다. 이 상승 폭은 지난 30년이래 최고치다. 동해와 동중국해는 10년마다 4.2㎝씩, 해수면의 변화가 가장 큰 황해는 5.5㎝씩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2월 지구의 평균 해면수온이 평년보다 0.2℃ 올랐는데 한국 해역은 1.2℃나 상승했다.


국제환경 단체 그린피스 서울사무소의 전망에 따르면 2030년이 도래하면 한반도의 5% 이상이 물에 잠기고 332만명이 직접적인 침수피해를 겪어야 한다. 기온 상승으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해안과 하천의 홍수로 이어지고 이 현상이 잦아지면 막대한 규모의 국가 예산을 투입한 인프라시설의 피해도 늘어날 것이란 얘기이기도 하다.


정부와 건설업계는 손에 잡히지 않을 만큼 먼 미래라며 보수적인 접근을 유지하고 있다. 적은 돈으로 추진하는 사업이 아니고 떠안아야 할 리스크도 상당하기에 각자의 입장이 이해되는 부분도 있다. 하지만 다가올 것이 뻔한 미래를 두고 서로가 떠넘기기 바쁘다면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아야 하는 상황이 오지 않을까. 국가와 기업이 머리를 맞대고 미리 손을 써두면 어떨까.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관련종목
관련기사
기자수첩 845건의 기사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