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피탈업계, 부동산PF 정상화펀드 2000억 조성
대상 사업장 8곳 선정…지주 계열 등 캐피탈 9개사 참여
이 기사는 2024년 05월 10일 09시 40분 유료콘텐츠서비스 딜사이트 플러스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사진=딜사이트)


[딜사이트 주명호 기자] 캐피탈사들로 구성된 여신전문업권 부동산PF(프로젝트파이낸싱) 2차 정상화펀드 조성이 마무리 단계에 이르렀다. 지난해 만들었던 1차 정상화펀드보다 투자금액도 늘고 대상 사업장도 확대됐다. 정상화펀드가 가동되면 저축은행에 이어 캐피탈업권 역시 토지매입 단계의 브리지론을 중심으로 발생했던 사업장 손실을 어느정도 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캐피탈업계는 부동산PF 2차 정상화펀드 조성 계획을 마치고 이달 중으로 출자 등을 완료한 후 본격적인 운용을 진행할 방침이다. 출자 물량은 지난 1차때 1600억원보다 늘어난 약 2000억원 수준이다. 


대상 사업장은 8곳이 선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1차 때 선정된 사업장은 6곳이었다. 출자 규모가 1차 대비 커진 만큼 이에 맞춰 사업장 수도 늘린 셈이다.


이번 정상화펀드에 들어온 캐피탈사는 총 9곳으로 파악됐다. 신한·KB·우리금융·하나·BNK·DGB캐피탈 등 은행금융지주 계열사를 비롯해 IBK·메리츠·한국투자캐피탈 등도 참여했다. 펀드 운용은 한국투자리얼에셋운용이 전담한다. 한투리얼에셋은 앞서 조성된 저축은행 2차 정상화펀드에서도 웰컴자산운용과 함께 운용을 맡은 바 있다. 


캐피탈업계 부동산PF 대출은 저축은행업계와 마찬가지로 규모가 큰 만큼 위험성에 대한 우려가 이전부터 적지 않았다. 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지난해말 기준 캐피탈업계의 부동산PF 대출은 약 27조원으로 추산된다. 이중 본PF 대출이 17조4000억원, 브리지론이 9조6000억원 수준이다. 캐피탈은 저축은행과 달리 예금 등 수신기능이 없는 만큼 연체 등 부실로 인한 충당금 부담이 커질수록 자금조달 리스크도 높아진다.


정상화펀드가 가동되면 캐피탈업계의 부실 PF 사업장의 정리 및 재구조화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앞서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가 1조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부실화된 부동산PF 사업장 인수에 나섰지만 실적은 미미했다. 캠코에서 제시하는 할인율 수준이 PF에 참여한 대주단에서 받아들이기 힘들 정도로 높은 수준이라는 이유에서다. 정상화펀드의 경우 업계를 중심으로 조성하는 만큼 캠코 펀드만큼 높은 할인율을 강제하지는 않는다. 


캐피탈사의 충당금 부담 역시 정상화펀드를 통해 다소 경감될 것으로 보인다. 캐피탈업계 관계자는 "충당금을 쌓아놓은 대출채권을 정상화펀드가 매입하면 그만큼 충당금 환입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곧 발표될 금융당국의 부동산PF 정상화방안도 정상화펀드의 운용 속도를 높여줄 것으로 관측된다. 금융당국은 기존 '양호(자산건전성 분류상 정상)·보통(요주의)·악화우려(고정이하)' 3단계로 분류된 PF사업장 평가 기준을 '양호·보통·악화우려·회수의문' 4단계로 세분화하는 방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4단계로 바뀌면 악화우려에서 회수의문으로 평가가 강등될 시 충당금 적립 비율은 30%에서 75%로 늘어난다. 충당금 부담이 커져 경·공매로 넘어갈 가능성이 높은 만큼 업계 입장에서는 자체 정상화펀드를 통한 사업장 정리를 선택할 여지가 커진다. 


금융당국이 발표할 정상화방안에는 은행과 보험사들이 공동대출(신디케이트론)을 구성한 후 필요시 자금을 공급하는 '캐피탈콜' 방식으로 운용하는 안이 담길 예정이다. 한꺼번에 자금을 투입해야 하는 부담을 줄인다는 취지다. 당국은 이를 유도하기 위해 은행, 보험사들에 다양한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도 함께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