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팍스넷뉴스 장영일 기자] 신한은행에 이어 하나은행도 금융당국의 외환파생상품 키코(KIKO) 분쟁 조정 결과는 수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하나은행은 5일 이사회를 열고 키코 피해기업에 대한 배상안이 최종 부결됐다고 밝혔다. 하나은행은 "이사회의 충분한 논의를 통해 조정결과를 수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신한은행도 이날 이사회를 열고 키코 배상안을 불수용하기로 결정했다.
두 은행은 이미 대법원의 확정 판결로 법적 소멸시효가 지난 사안으로 금감원의 권고를 수용할 경우 주주들로부터 배임 소송을 당할 여지가 큰 것으로 판단했다. 또 피해기업마다 상품의 성격이 다르다는 점 등을 고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피해기업에 배상을 제외한 은행 차원의 지원을 검토하기로 했다. 피해기업의 분쟁 자율조정 문제를 다룰 은행협의체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다.
앞서 금감원 분쟁조정위원회는 키코상품을 판매한 6개 은행을 대상으로 불완전판매 책임을 인정하고, 피해액의 15~41%를 배상할 것을 권고했다. 배상액은 신한은행 150억원, 우리은행 42억원, 산업은행 28억원, 하나은행 18억원, 대구은행 11억원, 씨티은행 6억원 등 모두 255억원이다.
6개 은행중 우리은행만 금감원의 조정안을 수용했다. 산업은행과 씨티은행은 일찍 배상안을 수용하지 않았고, 이날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이 불수용하면서 대구은행만 남은 상황이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팍스넷뉴스 무단전재 배포금지
- ㄴ 신한·KB 덩치싸움의 그림자 2021.01.20
- ㄴ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 신한금융 '완전자회사' 편입 2021.01.15
- ㄴ 네오플럭스, '신한벤처투자'로 새출발 2021.01.12
- ㄴ 하나금융硏 "내년 선거까지 금리동결 기조" 2021.01.21
- ㄴ 하나銀·삼성카드의 울며 겨자 먹기 '플랜B' 2021.01.18
- ㄴ '고만고만한' 은행지주계···승부처는 M&A 2021.01.12
신한銀, 키코 배상안 불수용···라임펀드는 50% 선지급
신한·하나·대구銀, 또 키코 배상여부 결론 못내려
신한은행 이사회, 키코 배상 놓고 '갑론을박'
‘수용·거부·연장’ 누더기 된 키코 분쟁조정안
우리銀만 수용, 산은·씨티銀 거부, 신한·하나·대구銀 연장 요청 금감원은 명분 없는 세 번째 연장 허용…협의체는 내달 가동 전망
신한銀, 키코 배상안 통보시한 연장 요청
은행권, 라임펀드 선지급금 '충당금·현금 활용'
우리금융지주, 우리銀 1조 유상증자 참여
주주배정증자 전량 취득···BIS비율 15%대 상승 기대
하나-수출입銀, 국내기업 해외 신시장 진출 돕는다
최근 우즈벡서 공동으로 '전대금융' 방식 금융지원···협력 범위 확대키로
법원, 함영주 하나금융 부회장 DLF 중징계 효력정지
'5년래 수익성 최악' 씨티銀, 결국 수장 교체
효율성 강조한 점포 감축 효과 '무색'···올 상반기 ROA 최저치
씨티銀, 선제적 구조조정 효과 '고작 1년'
점포 감축으로 감소한 판관비, 2019년 증가세로···조직내 불협화음도
'40대 중반이 부서 막내' 활력 잃은 씨티銀
수년간 채용 미실시 등 인사적체 심각···점포축소에도 실적 곤두박질 배경 지목
황무지된 씨티銀
박진회 전 행장의 '어정쩡한 구조조정' 후폭풍···'비전 잃고 노쇠화'
씨티 등 외국계 은행 고배당 막을 근거 없다
차기 씨티은행장 단독 후보에 유명순 수석부행장
유명순 차기 씨티은행장, 첫 과제는 '특별퇴직제'
특별퇴직제 도입 위한 노사 공동 TF 활동 개시···퇴직금 규모 놓고선 '입장차'
하나금융, 3Q 누적순익 2.1조 '전년비 3.2%↑'
하나금융 "분기배당 검토 가능"
하나銀, 중소기업 경쟁력 회복 돕는다
하나銀, 알리페이서 금융상품 판매
하나銀, 中 충칭지점 설립 내년으로?
코로나19 팬데믹 등으로 당국 승인 늦어질 듯···"설립시 실적 확대 기여"
신한·씨티銀, 키코 피해기업에 '보상' 결정
은행권, 키코 보상 움직임···마이데이터 때문?
하나금융그룹
■ 하나금융지주 <승진> ◇ 전무 ▲그룹준법감시인 김희대 ◇ 상무 ▲경영지원실 이준혁 ■ 하나은행 <승진> ◇ 부...
하나銀, 소비자리스크관리그룹 신설
18그룹 체제서 15그룹 체제로 축소···임원 인사도 함께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