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팍스넷뉴스 전경진 기자] 자기자본 기준 국내 1위 금융투자회사 미래에셋대우가 출범 5년만에 '미래에셋증권'으로 사명을 변경한다.
미래에셋대우는 상호를 미래에셋증권으로 변경한다고 9일 공시했다. 변경된 사명은 오는 24일 정기주주총회의 결의를 통해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상호 변경은 기업 이미지 통합계획(Corporate Identity Program)의 일환이다. 국내외 통일된 CI를 사용함으로써 브랜드 영향력 강화와 기업 이미지 제고를 동시에 모색하겠다는 것이다. 기존 미래에셋대우는 'Mirae Asset'이란 브랜드로 사명을 통합해 해외 비즈니스에 나서 왔다. 해외 법인을 'Mirae Asset Securities' 혹은 'Mirae Asset Wealth Management'으로 표기하는 식이다.
상호 변경은 지난 2016년 미래에셋증권과 KDB대우증권의 합병 출범 후 5년만이다. 미래에셋대우는 합병 출범 후 고객자산 약 351조원, 자산규모 132조원, 자기자본 9조2000억원의 위상을 갖춘 국내 최대 투자은행(IB)으로 성장했다. 지난해에는 금융투자업계 최초로 영업이익 1조원 시대를 개척하는 성과도 냈다.
해외사업부문에서도 최초로 영업이익 2000억원을 돌파하며 안정적인 수익와 우량한 리스크 관리 역량을 선보이고 있다. 전 세계 15개 지역에 33개의 거점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2020년 말 기준 이들 해외 법인의 자기자본 규모는 4조5000억원, 세전 손익은 약 3200억 원에 달한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미래에셋의 통일된 CI를 고객에게 명확히 전달해 투자 전문그룹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인식하고 금융소비자 보호를 한층 강화하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며 "금융그룹 차원에서도 이번 사명 변경이 글로벌 브랜드 파워를 한층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팍스넷뉴스 무단전재 배포금지
- ㄴ 대우 결별한 미래에셋證, 'IPO 명가' 입지 굳힐까 2021.04.12
- ㄴ 동학개미 따라 늘어난 증권사 광고비 2021.04.07
- ㄴ 기대 못 미친 발행어음 시장, 미래에셋 '메기될까' 2021.04.06
SK바이오사이언스 흥행 이끈 '빅3', 글로벌 IB 역량 '주목'
'토종' IB만으로 외인 청약 비중 20% 달성…SK바이오팜·빅히트 '압도'
역대 최대 인력 꾸린 미래대우, 성과 거뒀다
역대 최대 17건 IPO 추진…내년 3년만에 업계 수위 탈환 눈앞
미래대우, 연초부터 IPO 속도전?
1월 IPO 13건 중 6건 주관…'유동성 풍부+주관 계약 多', 속전속결 전략
크래프톤 잡은 '미래대우', IPO 왕좌 복귀할까
SKIET·호반건설 등 빅딜 수임…'변수' LG에너지솔루션 입찰 향방 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