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식품價 폭등 주범, 내년 봄에 가려봅시다
원료 부담 이유로 가격 줄인상…고통분담-소비자부담 가중 사이
이 기사는 2022년 06월 10일 07시 43분 유료콘텐츠서비스 딜사이트 플러스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딜사이트 최보람 기자] 치솟는 물가에 온 나라가 난리다. 품목을 막론하고 대다수 제품가격이 고공행진을 벌이고 있어서다. 이런 이유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거듭된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올해 한국의 물가상승률이 4.8%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1990년대 후반 외환위기 이후 최대치다.


이 가운데 식품물가 상승은 국민들이 체감하는 부담이 더 클 여지가 있다. 벌어들인 소득을 '필수재'인 식품구매에 더 써야하는 만큼 그 반대급부로 경제적 여력이 부족해지는 까닭이다. 아울러 석유나 석유화학제품의 경우 국제유가에 연동되는 경향이라도 있지만, 식품의 경우 한 번 오른 가격은 좀처럼 떨어지지도 않는다. 식품업체가 가격인상을 단행할 때 회사 수익성이 개선될 거란 증권사 리포트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식품물가는 이미 전체 물가상승에 큰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 1분기 생활물가지수 내 식품지수는 108.3으로 전년 동기대비 4.2%, 2020년 1분기에 비해 10.4%나 뛰었다. 지난해부터 라면과 빵, 즉석밥, 음료, 외식, 프랜차이즈 등 식음료 업체 대다수가 원료가 압박을 이유로 가격을 올린 게 주 요인이다.


이 시점에서 의문이 드는 점은, 가격 인상의 정도가 과연 적절했느냐다. 소비자는 식음료기업들이 고유가·곡물가 불안을 앞세워 제품가격을 과도하게 인상했다며 눈살을 찌푸리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기업이 설탕·식용유 등 기초식품은 물론 즉석밥, 빵 등 가공품에 대해 두 자릿수 인상률을 적용했기 때문이다.


반대로 기업들은 이번 가격 인상만큼은 할 말이 많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2019년부터 연이어 발생한 호주·미국 산불로 곡물가격이 폭등한 가운데 우크라이나 사태까지 벌어진 터라 손 쓸 도리가 없었단 것. 실제 전쟁의 당사자인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밀·옥수수 수출국가다.


양측의 입장 모두 일리가 있는 만큼 현재는 누구의 주장이 옳았는지를 판가름하기도 쉽잖다. 다만 주요 기업들이 감사보고서를 공시할 내년 3월, 적어도 4~5월께는 어느 정도 판단이 설 것 같다. 가격 인상이 고통분담이었는지, 소비자에게 전가된 결과인지를 말이다. 예컨대 가격 인상에 따른 매출 증가분 대비 매출원가 내 매입비중이 축소됐다면?...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관련기사
기자수첩 833건의 기사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