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각 재개' 쌍용차, 가시밭길 예고
계속가치보다 청산가치↑... 법원 인가 전 인수자 확보가 관건
이 기사는 2021년 06월 28일 15시 09분 유료콘텐츠서비스 딜사이트 플러스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사진=쌍용차)


[딜사이트 김진배 기자] 쌍용자동차(이하 쌍용차)의 매각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조사인인 EY한영회계법인(이하 EY한영)이 중간보고서를 통해 서울회생법원에 쌍용차를 청산하는 것이 낫다는 의견을 제출했다. 쌍용차 노사가 자구안을 마련해 합의하고, 신차를 내놓는 등 회생 의지를 보이고 있지만, 시장 기대치를 충족시키기엔 역부족이다. 


28일 쌍용차는 매각 공고를 내고 본격적인 새 주인 찾기에 나섰다. 이번 매각은 제3자 배정 유상증자, 회사채 발행 등 외부자본 유치 방식으로 진행된다. 다음달 30일까지 인수의향서와 비밀유지 확약서를 접수하고 8월부터 예비실사가 시작된다. 매각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경우 오는 10월까지 정밀실사와 가격협상 등을 마치고 올해 안에 매각이 완료될 전망이다.


매각 작업이 시작됐지만 쌍용차의 새 주인이 나타날지는 미지수다. 조사인인 EY한영이 지난 22일 쌍용차의 중간보고서를 법원에 제출했다. 중간보고서에는 쌍용차의 청산가치가 9800억원으로 계속기업가치인 7500억원보다 높다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쌍용차의 미래가치를 생각했을 때 청산하는 것이 채권자들에겐 이득이라는 판단이다. 오는 30일 최종보고서 제출이 예정돼 있는데, 그 내용은 크게 바뀌지 않을 전망이다. 다만 이번 매각은 인가 전 인수합병(M&A) 방식으로 진행돼, 법원의 판단 전까지 인수자를 찾는다면 쌍용차는 청산가치와 관계없이 자력으로 회생이 가능하다.


쌍용차 인수에는 약 1조원 이상의 금액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수금액 자체는 약 2800억원 수준으로 크지 않지만, 인수 후 갚아야할 공익채권 등의 규모가 7000억원 이상이다. 급여, 퇴직금 등이 포함된 공익채권은 법정관리를 거쳐도 변제가 되지 않아 인수자가 모두 갚아야 한다. 자금력이 뒷받침 되지 않은 인수자는 사실상 인수가 어렵다.


현재 쌍용차 인수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곳은 ▲기존 인수후보인 HAAH오토모티브 ▲국내 전기버스 생산업체 에디슨모터스 ▲국내 전기차 생산업체 케이팝모터스 ▲사모펀드 계열의 박석전앤컴퍼니 등 4곳이다. 재무적투자자(FI)와 전략적투자자(SI)를 확보했다고 알려진 HAAH오토모티브를 제외하고는 자금조달 능력에 의문이 붙을 수밖에 없다.


매각 공고에 앞서 쌍용차는 각종 리스크 해소 작업에 나섰다. 지난 14일 회사 매각을 대비해 노동조합(이하 노조)과 자구안에 대해 합의했다. 생존을 위해 노조가 한 발 물러섰다. 자구안에는 ▲무급 휴업 2년 ▲현재 시행중인 임금 삭감 및 복리후생 중단 2년 연장 ▲임원 임금 20% 추가 삭감 ▲무쟁의 확약 ▲단체협약 변경 주기 현행 2년에서 3년으로 변경 ▲효율적인 인력 운영 및 생산 대응 ▲유휴자산 추가 매각(4개소) 등의 내용이 담겼다.


자구안 합의에도 시장의 반응은 부정적이기만 하다. 주 채권자인 KDB산업은행도 마찬가지다. 이동걸 KDB산업은행 회장은 최근 쌍용차 자구안에 대해 "투자자 관점에서 2년 무급휴직이 얼마나 긍정적으로 반영될지 의문"이라면서 "잠재적 투자자가 무엇을 요구할지를 놓고 그림을 그려야 의미 있는 진전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부정적인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다만 산업은행이 쌍용차의 청산을 두고 보지만은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산업은행은 쌍용차를 단순 채권자 입장에서만 바라볼 수가 없다. 쌍용차를 청산할 경우 일자리 감소와 지역경제 악화 등의 문제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 경우 국책은행인 산업은행과 이를 운영하는 정부에 책임론이 불거질 수밖에 없다.


한 업계 관계자는 "쌍용차 청산으로 불거질 수 있는 문제가 많아 산업은행이 가만히 두고 보지만은 않을 것"이라면서 "지금보다 높은 강도의 자구안 등을 요구해 정상화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라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관련종목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