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셋+]
KT
김영섭 대표, 허울 뿐인 주주환원 승부수 '그림의 떡?'
배당, 5000억 안팎 책정 전망…외인 지분 문제로 자사주 소각도 어려워
이 기사는 2024년 04월 03일 16시 35분 유료콘텐츠서비스 딜사이트 플러스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김영섭 KT 대표가 지난달 28일 제42기 정기 주주총회를 진행하고 있다. (제공=KT)


[딜사이트 이태웅 기자] 김영섭 KT 대표가 취임 이후 강조하고 있는 주주환원 정책이 사실상 겉보기에만 그럴싸한 '그림의 떡', '빛 좋은 개살구'에 가깝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주주들을 속이는 것이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올해 현금배당은 전 대표 임기 기간과 비교해 크게 달라지지 않았고, 자사주 소각도 외국인 지분율이 발목을 잡고 있는 탓에 회사 뜻대로 이뤄지기 어렵다는 게 증권 업계는 분석이기 때문이다. 


외국인 지분율로 인해 자사주 소각이 어렵고, 5G 커버리지, 인공지능 등 기술 투자에 들어가는 현금이 만만치 않은 상황에서 보여주기식 주주환원 정책을 하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KT는 지난달 28일 제42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2023년도 재무제표 승인, 분기배당 도입을 위한 정관 변경 등 안건을 의결했다. 재무제표 승인과 관련해 KT는 보통주 1주당 1960원의 배당금을 확정했고, 오는 26일 지급한다. 지난달 15일 취득 완료한 271억원 규모 자사주에 대한 소각을 포함해 총 5101억원을 환원한다. 이 같은 결정에서 알 수 있는 김 대표의 올해 주안점은 주가 부양이다. 현금배당, 자사주 매입·소각을 실시할 때 주주들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앞으로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을 이어가겠다는 방침이다.


김 대표 또한 주주총회에서 "현금배당뿐 아니라 자사주 매입·소각을 도입하며 주주가치 측면에서 한 단계 진화했다"며 "정관 변경을 통해 절차를 개선하는 등 종전보다 주주환원 정책을 열심히 하겠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김 대표의 주주환원 정책이 실질적인 메리트가 되진 않을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회사가 계획한 배당 정책은 배당 절차를 개선해 개인 주주들의 투자 안정성을 높여주는 데 비해 규모나 수익률은 지난해와 크게 다르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서다. 배당을 늘릴 여력이 안되고 배당금 규모도 매년 비슷한 수준에서 어떤 식으로 주주환원 정책을 늘려갈 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이 불투명하다는 지적이다. 실제 KT의 최근 5년(2019~2023년) 동안 배당금 총액을 보면 ▲2019년 2698억원(주당 1100원) ▲2020년 3265억원(주당 1350원) ▲2021년 4504억원(주당 1910원) ▲2022년 5018억원(주당 1960원) ▲2023년 4830억원(주당 1960원) 순으로 연평균 15.7%씩 증가했다. 


증권 업계 한 관계자는 "KT는 지난해까지 5000억원 수준에서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고 이미 많은 돈을 주주들에게 돌려주고 있다고 판단된다"며 "올해 5G 가입자 수 성장률이 완만해질 것으로 전망되는 데다 5G 커버리지, 인공지능 등 기술 투자까지 이어가야 하기 때문에 배당금을 추가로 늘리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고 설명했다.


자사주 소각 정책 또한 문제다. 자사주 소각은 기업이 회사 주식을 매입한 후 영구적으로 없애는 행위를 말한다. 자사주 소각이 이뤄지면 시중에 유통되는 주식 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기존 주주들의 지분율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이에 따라 기존 외국인 투자자들의 지분율이 상승하는 점이 KT의 자사주 소각 정책을 어렵게 하는 배경으로 증권가는 꼽는다. 


전기통신사업법 제8조 '외국정부 또는 외국인의 주식소유 제한'에 따르면 대통령령으로 정해진 기간통신사업자의 경우 외국정부 또는 외국인이 해당 기업의 발행 주식의 49%를 초과할 수 없다. 외국인 주주로 인한 경영권 위협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다.


지난 2일 기준 KT의 외국인 지분율은 45.42%(약 1억1712만주)다. 한도소진율은 92.69%로, 외국인 투자자가 추가로 사들일 수 있는 물량은 3.58%(약 923만주)다. 여기에 KT가 최근 예고한 271억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 물량 70만주를 계상하면 앞으로 외국인이 투자할 수 있는 주식 수는 약 890만주다. 주가 상승 호재로 꼽히는 외국인 투자자 유입과 법 제도에 따른 규제를 고려할 때 KT가 적극적으로 자사주를 소각해 나기기 어려울 것으로 관측된다. 사실상 자사주 매각을 할 수 있는 여력이 많지 않다는 분석이다. 


현대차그룹의 지분 이슈도 자사주 소각과 무관치 않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현재 KT의 최대주주는 지분율 7.89%(약 2034만주)를 보유한 현대차그룹이다. 국민연금이 지난달 20일 보유 지분 1.02%(약 288만주)를 장내매도하면서 지분율 7.51%(약 1938만주)로 내려온 영향이다.


문제는 현대차그룹이 KT의 최대주주가 되기 위해서는 전기통신사업법 제10조 '기간통신사업자의 주식 취득 등에 관한 공익성심사'와 제18조 '사업의 양수 및 법인의 합병 등'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심사와 인가를 거쳐야 한다는 점이다. 현대차그룹 입장에선 관계사인 스파크앤어소시에이츠(현 오픈클라우드랩)와 KT가 고가 인수 의혹으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기 때문에 최대주주로 올라서는 것이 부담되는 상황이다. 국민연금이 다시 KT 주식을 사드릴 가능성을 배제할 순 없다. 다만 지금 상황만 놓고 봤을 때 현대차그룹이 지분을 일부 정리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증권업계 시각이다. 지분을 매각할 경우 주가하락은 불 보듯 뻔하고 이로 인한 피해는 결국 주주들에게 돌아갈 것으로 예상된다. 


증권 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시장에서 많은 기업이 지분투자, 인수합병(M&A) 등을 통해 KT의 최대주주가 되는 방안을 검토해 왔지만 정부 심사로 인해 이뤄지지 않았다"며 "현대차그룹도 마찬가지로 부담을 안고 가기보다는 지분을 매각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현재 기관이 이를 수용하기 어렵다 보니 결과적으로 외국인 투자자가 들어올 시나리오가 현실적"이라며 "시장 충격을 줄이기 위한 선택이 결과적으로 자사주 소각 가능성을 떨어트린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KT 관계자는 "현재 시점에서 현대차그룹이 추가로 주식을 매집한 상황은 아니고, 국민연금의 매도에 따라 지분율이 변한 것"이라며 "다만 현대차그룹과 국민연금의 지분율 차이가 크지 않고 시장에서 제기되는 여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시장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며 관련 사항을 점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관련종목
관련기사
핀셋+ 552건의 기사 전체보기
KT 11건의 기사 전체보기